세종특별자치시(시장 이춘희)가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실질적인 행정수도로 수준 높은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스마트시티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춘희 시장은 1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2030년까지 1,500억원을 투자해 국내 최고의 스마트도시를 건설하겠다.”며 “도시통합정보센터 운영과 빅데이터 기반 맞춤형 행정서비스를 통해 시민이 행복한 세종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교육‧문화․예술‧관광‧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의 스마트 서비스를 개발하여 시민들의 삶을 질을 높이겠다”고 덧붙혔다.
세종시 스마트시티 조성은 2007년부터 2030년까지 3단계로 추진된다.
초기단계인 1단계(2007-2014년)는 스마트시티의 두뇌 역할을 수행하는 도시통합정보센터를 건립하고, 도시전역에 자가정보통신망 등 기반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를 통해 방범, 교통, 시설물관리 등 6종( 방범CCTV, 교통 돌발상황 관리, 교통정보 연계, 교통정보 안내, 대중교통정보 안내, 시설물 관리)의 스마트시티 기본서비스 체계를 구축했으며, 서비스 제공도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다.
성숙단계인 2단계(2015-2019년)는 BRT 우선신호서비스 등 8종(BRT우선신호, 산불감시, 차량번호인식, 주차정보제공, 도시재난대응, 풍수해예보, u-포털, 도시가이드)의 서비스를 구축한다.
세종시는 시민체감형 U-서비스(유비쿼터스 서비스)를 확충하기 위해, 통신사와 협업하여 CCTV영상을 통해 아동, 치매노인 등 사회적 약자에게 위급상황 발생 시 긴급구조를 서비스하는 체계를 구축 중이며,
국토교통부 R&D로 개발된 112․119출동 지원, 체납차량 단속 등 9종의 서비스를 구축하고 있다.
아울러 세종형 빅데이터사업을 3개년(2016-2018년) 계획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는 정보화전략 계획 수립을 위해 시민맞춤형 과제 개발, DB통합 기반 마련을 위한 현황조사 등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복지자원 분석 시범사업으로 5개(행자부, 복지부, 사회복지협의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회복지시설)기관 6종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적·물적 자원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한눈에 보이는 복지자원 시범 서비스’도 만들고 있다.
완성단계인 3단계(2020-2030년)는 ICT 신기술을 적용하여 시민 체감형 콘텐츠 개발함으로써 세종형 스마트시티의 모델을 확립하고, 문화․관광 등 다양한 시민 체감형 스마트 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이다.
그동안 세종시의 도시통합정보센터의 성과는 센터의 방범․교통상황실에 근무하는 관제요원 18명은 1,100대의 CCTV를 통해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파수꾼 역할을 톡톡히 해왔다.
아울러 폭력, 화재, 교통사고 등 돌발 상황 발견 즉시 112․119에 신고*하여 범죄예방 및 시민안전 골든타임 확보에 도움을 줬고,
CCTV비상벨과 전화를 이용해 시설물 고장, 쓰레기 투기, 교통사고, 분실‧도난, 차량 파손 등 236건의 민원을 해결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각종 사건․사고(교통사고, 절도, 폭력, 성폭력 등)를 해결할 수 있도록 경찰서 등에 1,329건의 영상정보를 제공해 시민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삶을 누릴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