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및 위기관리 능동대응 한계...행정력 낭비 등 문제점 속출
"조직개편 앞서 부서별 인력 진단 필요"
[충청뉴스 김용우 기자] 대전시가 민선 8기 첫 조직개편을 앞둔 가운데 일부 부서의 ‘직류(보직) 재배치’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전문성이 요구되는 일부 부서의 경우 전문 인력 수요에 따라 이뤄지지 않은 채 주먹구구식으로 돼 있다는 것.
업무 성격과 전혀 동떨어진 인력 배치로 인한 행정력 낭비와 업무 비효율로 결국 시민들의 행정 서비스 질 저하로 이어질 거란 우려가 시 안팎에서 제기된다.
우선 상수도에 전문지식과 경험을 갖춘 전문 인력이 필요한 상수도사업본부 수도시설관리사업소 공무과장의 경우 대전이 6대 광역시 중 유일하게 행정직(5급 사무관)이 업무를 처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인천·대구·광주·울산 등 타 광역시에선 모두 기술(토목) 직렬이 배치된 것.
공무과장은 예산·계약을 제외하곤 도수관로, 공동구, 400mm이상 관망 및 유지관리, 관로 파손에 따른 긴급한 응급조치 등 위기관리 능력과 전문성을 요구하는 자리다.
시 감사위원회 기술감사팀장도 직류 변경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감지된다.
대규모건설 사업장 현장감사와 정기종합감사(사업소·5개 구청) 등이 주요업무인 기술감사팀 역시 6대 광역시 중 대전만 건축직(5급)으로 배치된 것으로 나타났다.
시에 따르면 최근 3년간(2019~2021년) 대전지역에서 모두 253개소의 현장감사가 이뤄졌는데, 이중 204개소(약 81%)가 토목분야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건설관리본부를 비롯한 5개구의 정기종합감사 지적사항 30건 중 토목분야가 24건(80%)으로 파악돼 기술감사 시 토목공사 시공 등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부서장 배치가 요구되고 있다.
환경녹지국 맑은물정책과도 개편 대상으로 꼽힌다.
지역 하수도에 관한 전반적인 관리와 하수관거정비 BTL사업 등을 주관하는 데 하수도 건설 등 전문성을 갖춘 직류의 보직 변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대전시는 그동안 맑은물정책과장에 환경직(4급 서기관)으로 배치해왔다.
이와 함께 시 맑은물정책과는 맑은물정책팀을 비롯해 하수관리팀, 하수시설팀, 하수시설 운영팀, 수계관리팀 등 5개 팀으로 구성됐다. 시청 내부에선 민원인들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수’가 포함된 부서명 변경 역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시청 한 직원은 “첫 조직개편에 앞서 전문 인력이 필요한 전체 부서별 인력 진단이 필요하다"며 "적재적소에 맞는 인력 재배치로 조직의 활력을 불어 넣고 시민들에게 질 좋은 서비스로 보답해야 한다"고 말했다.

